麻衣相法全編序(마의상법전편서)

최고관리자 0 2,045 2017.09.18 13:54

麻衣相法全編序

마의상법전편서

 

相人之術이 古矣라

  孔孟觀人之法이 

    於論孟者-豈無權輿리오마는  

然이나

  以人之吉凶壽夭富貴貧賤이

    盡係於相者도 非也며 

  以吉凶壽夭富貴貧賤이

    不係於相者도 亦非也니라

相有定理而相之者-不能以盡窮也니  

  以不能盡窮之見으로

  而苟同如此者난 吉하고

            如此者난 壽夭富貴貧賤也면

              豈能皆中哉리오

究之컨대 相은 外也오  心은 內也라

  所以로 聖賢은 言心코

                       不言相하나니 

    若曰 凶人이라도 言其吉하고 

             吉人이라도 言其凶하면 

              相烏足知之哉리오

然則 是書를 

  學者-不可以不知也며 

           不可以盡非也며   

           亦不可以深泥也일새

             是爲序하노라 

 

賜 進士出身 翰林院 經筵講官

  武英殿 協修倪岳 譔

 

民國 四年 乙卯 夏 五月

  嘯傲山人 書于滬

 

 

마의상법전편서

 

사람의 상을 보는 술법은

  옛날부터였느니라

공자와 맹자의 사람을 살피는 법이 

  논어와 맹자에도 나타나 있으니

    어찌 시초가 없으리오마는

그러나

  사람의 길흉, 수요, 부귀, 빈천이

    다 상에만 매여 것도 아니며

  길흉, 수요, 부귀, 빈천이

    다 상에 매여 있지 않은 것도

      또한 아니니라

상에는 다 정해진 이치가 있는데

  상을 보는 자들이

    능히 궁극에 다 이르지도 못하고

    능히 궁극에 다 이르지도 못한 견해로

무작정

  이런자는 길하고

  이런자는

    수요와 부귀와 빈천이 있다고 한다면

      어찌 능히 다 적중하리오

이에 대하여 궁구하여 보건데

  상은 외면이고  마음은 내면이라

그런 까닭으로 성현들은

  마음만을 말하고

  상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나니

만약에 이르자면

  흉한 사람이라도

    그것을 길하다고 말하고

  길한 사람이라도

    그것을 흉하다고 말한다면

      상을 어찌 족히 아는 것 이리오

그러한 즉  이 책을 배우는 자들은 

  알지 못해서도 안 되며

  궁극에 이르지 않아서도 안 되며

  또한 깊이 빠져서도 안 되는 것 일새

    이것으로서 차례를 세우노라

 

진사출신으로

  한림원에서 경연하고 강연하던 관리가  

무영전에서

  장차 큰 산이 될 아이들을 도우며

    수양하던 중에 지어서 주노라

 

대한민국 4년 을묘년 여름 5월

소오산인이 상해에서 썼노라

 

 

*權輿(권여)=권은 저울대  여는 수레의 바탕

            곧 저울을 만들 때는 저울대부터 만들고

                수레를 만들 때는

                  수레의 바탕부터 만든다는 뜻으로

                사물의 시초

 權=권세 권   권력  권한   저울

 輿=수레 여  가마

 

*烏=까마귀 오  어찌   검다

*嘯=휘파람 불 소   읊조리다   울부짖다

*滬=물 이름 호   강의 이름

        대어살 (고기를 잡는 살)

        강소성   상해의 딴 이름

 

*賜=줄 사   하사하다

*泥=진흙 니  진창   수렁

*著=나타날 저   붙을 착

*盡=다할 진   완수하다   극치에 달하다

        정성을 다하다

 

*經筵(경연)=임금이 학문을 닦기 위하여

        신하들 중에서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을

          궁중에 불러

            경전과 사서 등을 강론하게 하던 일

 筵=대자리 연   좌석   연회

 

*講=외울 강   배우다   익히다

        설명하다   풀이하다   이야기하다

*譔=가르칠 선  다르다

        지을 찬   짓다   적다   기록하다

*倪=어린이 예

*苟同(구동)=무작정 

                     (경솔하게 쉽게) 동의하다

 

*武英殿(무영전)

     =중국 청나라 때에 북경궁 안에 지은 전각 

         건륭 연간(1736-1795)에 여기에서

           목활자로 인쇄된 총서가 간행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정조 때

           이 활자를 본으로 하여

             목활자 및 동활자를 만들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