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선생석실신이부하 3

최고관리자 0 496

마의선생석실신이부하 3

 

凶婦十惡은 皆言(因)眼赤睛黃이오

+註云              (흉부십악) 

   犯十惡之凶罪者는 

  多因眼有赤縷하고 睛黃而不黑也라

 

死在他州는

 蓋爲齦掀脣僄니라

+註云                (사재타주)

   死於他鄕者는 

  多爲齒齦이 掀露하고

       口脣이 薄僄也라

 

십악을 짓는 흉한 부인은

  다 눈에 적루가 있고

      눈동자가 누렇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풀어서 말하자면

   십악을 범하는 흉한 범죄자는

  대부분의 원인이 눈에 적색의 실핏줄이 있고

   눈동자가 누렇고 검지 않기 때문이니라

 

此言眼惡多凶

이것은 눈이 악하면 흉함이 많다는 말이니라

 

타향에서 죽는 자는

  대개 잇몸이 들어나고

         입술이 가볍기 때문이니라

+풀어서 말하자면

   타향에서 죽는 자는

  모두가 입술이 치켜 들려서 잇몸이 들어나고

            입술이 얇고 가볍기 때문이니라

 

*僄=날랠 표   재빠르다

      가볍다   경솔하다  경박하다

*齒齦(치은)=잇몸

*掀=번쩍 들 흔  (덮여져 있던 것을)들어 올리다

*口脣(구순)=입술   입과 입술 

 

*十惡=身口意 삼업에서 나오는 열 가지의 악업

            身=살생  투도  사음

            口=망어  기어  양설  악구

            意=탐(탐욕)  진(진애)  치(우치)

 

 

形神이 不蘊하면 貧夭兩全하고

+註云               (형신이 불온)

   若形有餘而神不足하고

   或神有餘而形不足을

    皆曰不蘊이니

   如此之人은 不貧則夭니라

 

觔骨이 不藏하면愚雙得이니라

+註云                  (근골이 부장)

   觔中에 顯骨하고 骨生(上)露觔하야

     俱露而不成者는

   不懦弱則愚魯矣라

 

형상과 신기가 고르게 쌓이지 않았으면

  가난과 요절이 쌍으로 온전하고

+풀어서 말하자면

   만약에 형상은 유여한데 신기가 부족하고

      혹은 신기는 유여한데 형상이 부족한 것을

   다들 이르길

    고르게 쌓이지 않은 것이라고 하니

    이와 같은 사람은

     가난하지 않은 즉 요절하느니라

 

힘줄과 뼈가 감추어지지 않았으면

  나약함과 어리석음을 쌍으로 얻느니라

+풀어서 말하자면

   힘줄 사이로 뼈가 들어나고

   뼈에 들어난 힘줄이 생겨서

    모두가 다 들어나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자는

    나약하지 않은 즉 어리석고 둔하니라

 

*蘊=쌓을 온  저축하다   간직하다   너그럽다

*懦弱(나약)=의지가 굳세지 못함

  懦=나약할 나   무기력하다  부드럽다

       겁쟁이 유  나약하다  무기력하다

*觔=힘줄 근

*愚魯(우노)=愚鈍(우둔)=어리석고 둔함

 

*骨上露筋(골상로근)=

     뼈 위로 근육이 잡혀 있는데

   얼굴이나 손등이나 팔뚝이나 다리 같은 데에

    근육이 잡혀 있다

 

 

眼光嘴薄(趫)하면 (안광취박)          

  爲人이 執拗不良하고

+註云

   目露神光하고 嘴薄脣趫(취박순교)하야

     兼此三者면 不良村强之徒也라

 

齒齧頭搖하면 (치설두요)

  其性이 奸貪無比니라

+註云

   咬牙作聲曰齒齧(치설)이오  

   恨而擺首曰搖頭니

    咬齒而搖頭는

     毒狠之相也라  

   其人은 必多奸貪이라

 

눈에서 신광이 들어나고

입의 부리가 얇으면

   위인이 집요하고 불량하고

+풀어서 말하자면

   눈에서 신광이 들어나고

   입의 부리(위아래의 입술 끝)가 얇고

   입술이 들린 것인데

 이 3가지를 다 겸한 자는 

   불량하고 야비하고 억센 무리배이니라

 

이를 갈고 머리를 흔들면 

그 사람의 성품이

  간사하고 탐욕스러움을

    비교할 바가 없느니라

+풀어서 말하자면

   어금니를 갈아서 소리를 내는 것을

     왈 치설이라고 하고

   한이 있는 것처럼 머리를 흔드는 것을

     왈 요두라고 하니

   이렇게 이를 갈고 머리를 흔드는 것은 

     독하고 사나운 상이니라

   그런 사람은

    반드시 간사하고 탐욕이 많느니라

 

*齧=물 설  깨물다   십다  이를 부득부득 갈다

*趫=재빠를 교   건장하다   용감하다  

      발을 들다

*執拗(집요)=고집스럽게 끈질김

  拗=우길 요  고집스럽다  꺾다  비틀다

 

*咬=물 교   깨물다   새 지저귀다   새소리

*恨=한 한   유감   한하다   뉘우치다   원망하다

*村=마을 촌  시골   농막   촌스럽다   야비하다

*擺=열 파   벌여놓다   흔들다   털다

 

 

*前所遺一聯을 附解於此하노라

*앞에서 남겨두었던 한 구절을  (전소유일련)

   여기에서 덧붙여 풀이하노라

 

此聯因前不明故夂列于此

이 구절은 앞에서 밝히지 않은 까닭으로

  뒤 따라서 이곳에서 풀이하노라

 

*遺=남길 유   끼치다   전하다

*一聯(일련)=하나의 연속  율시의 대구

  聯=연이을 연   잇다  연결하다   합하다

       대  대구

*附=붙을 부  기대다   의지하다  보태다

 

 

得意中에 面容이 悽慘하면 

  先富後貧하고    (득의중에)

+註云

   利名得意之中에

    宜喜悅而面容이 悽愴者는 

     雖富而後貧이라

  

遭窘處에 顔貌-溫和하면 

  早窮晩發이니라     (조군처에)

+註云

   若處困窮之間하야 不憂愁而反溫和者는

    必量寬이니 終必發이라

 

뜻을 얻었는데도 얼굴의 모습이 처참하면

  먼저는 부해도 나중에는 가난하고

+풀어서 말하자면

   이익과 명예를 뜻한 대로 얻었으면

     마땅히 기쁘고 즐거워해야 하는데

   얼굴의 모습이 슬프고 처참한 자는

     비록 부하다고 해도 나중에는 가난하니라

 

군색한 상황에 처해 있어도

  얼굴의 모습이 온화하면 

    일찍이는 궁해도 늦게는 발복하느니라

+풀어서 말하자면

   만약에 곤궁한 상황에 처해 있어도

    근심하거나 슬퍼하지 않고 도리어 온화한자는

   반드시 국량이 너그러우니

     끝내는 필히 발복하느니라

 

*悽愴(처창)=몹시 슬프고 애달픔

*困窮(곤궁)=가난하여 살림이 구차함

                 어렵고 궁핍함

*憂愁(우수)=근심  우울과 수심

*喜悅(희열)=기쁘고 즐거움

 

0 Comments
Service
010.5411.9735
월-금 : 9:30 ~ 17:30, 토/일/공휴일 휴무
런치타임 : 12:30 ~ 13:30